반응형

프로젝트 시작부터 끝까지 완전히 한 사이클을 한 기업에서 경험해본 경험은 없다.

하지만 각 단계별로 경험해본 생각과 교육 받을때 메모해둔 키워드들을 적어본다.

중복되는 키워드들은 천천히 정리 해보겠다.

 

사업제안요청서(RFP) > 제안서 > 사업수행계획서

 

개발 실력은 기본적으로 중요하지만 문서를 보는 법도 중요하다.

프로젝트 전체적으로 이해 해야 커뮤니케이션도 가능/원활하고 더 성장할 수 있다.

 

프로젝트 관리(Project Management)

계획(planning)

조직(organizing)

인사(staffing)

방향(directing)

통제(controlling)

 

이해관계

팀장 고객 컨서런트

경영진 PM 스태프개발자

협조기관 타업체 협력업체

 

PM

plan, organ, conn, counsel, monitor, direct, train, motivate, delegate, coordinate

 

WBS(Work Breakdown Structure) - 일정계획표

Project Phase(=stage)

OBS(Organizational Breakdown Structure)

RAM(Responsibility assignment matrix)

방법론?! 폭포수, 애자일, CBD(Component Based Development), etc...

 

계획 > 진행 > 검토

 

프로젝트 개요

실행 계획

관리 계획

 

목표 범위 정의 - 성과 측정 기준 선정 - 일정 계획 수립 / 예산 및 자원 계획 수립 / 수행 절차 정리 - 통합 및 위험 관리 방안 - 실행 계획 작성

=> 사업 수행 계획서

 

프로젝트 진행 보고 중요하다

특이사항 있는 경우 바로 피드백하여 추후 더 큰 손해를 방지하자

 

1차(SI) -> 2차(고도화) -> 차세대

초기 -> 1년후 -> 3~5년후

 

PMO - 정말 큰 프로젝트(50~100억대 이상)에서 보통은 고객사가 만드는 조직이라 보면됨

 

사람들과 친해져라

프로젝트 나가서 어색하지 않게,,

당연히 서로 사이좋게 지내고 미리 좀 실력도 알아둘 수 있게,,

 

프로젝트 내 구성원들과 동화되어서 잘 지내자.

너무 나한테 꽂히는 말이다.

독고다이로 생활하는건 어릴때나 가능했지,,

이제는 사람들과 잘 어울리는 법을 연습하자.

 

프로젝트 시작 시 fm대로 미리 폴더를 생성한다.

중간에 투입 시 이미 데이터들(폴더들)이 있을것이다.

 

나라장터, 조달청,,구매입찰

제안서

발표입찰(총괄PM)

 

사업제안요청서

제안서를 어떻게 작성해서 배포해야하는지 안내되어 있다.

상품 설명부터 경쟁력, 입찰관련 등 안내사항 모두 기재.

 

요구사항 - 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 배포

 

수주 했을 시 사업수행계획서 제출, 발표.

 

BMT는 어떻게 측정하는가..?!

 

사업장에서 모든 문서 확인 가능할것이다.

계약관리, 프로젝트표준, 범위관리, 일정관리, 인력관리, 의사소통관리, 변경관리, 보안관리, 인프라도입, 교육관리, 검수 등등

 

주간보고, 월간보고 중요하다

회의록 - 리스트 방지, 책임소재 만들지 않고 서로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서명도 받는다

 

보통 문서 템플릿은 사업관리 쪽에서 보내준다

나중에 최종산출물 취합

하지만 대부분 개발에 바빠서 문서 작업을 나중에 몰아서 하게 되는 곳이 많은듯하다

 

주간업무보고

진척률, 이슈/리스크 관리, 요청사항, 인력관리(인력투입현황)

 

월간업무보고

진척률, 이슈/리스크 관리, 요청사항, 인력관리(인력투입현황)

 

프로젝트 초기 3개월 중 스토리보드/화면설계서 작성

 

유스케이스 명세서,,

 

문서 잘 만든다 => 보통 코딩도 잘한다

문서 작성 잘하는 것도 능력이고 중요하다

 

Project Management Office - PMO framework

리스트 관리 시, 리스트관리대장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이슈 관리 시, 이슈관리대장을 작성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고객사 - 수행사간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범위정의에 주의해야한다.

의사소통관리 - PMS 쓰면 좋다

 

인력관리가 제일 리스크 크고 어렵다

범위이슈도 정말 크다

 

품질관리

일정관리 - 진도측정, WBS

리스트관리

이슈관리

범위관리(범위변경관리)

의사소통관리

벤더관리 (거의 PM이 신경씀)

자원관리 - 리소스 (대부분은 인력)

 

자기내재화 중요하다

내가 직접 문서 작성을 많이 해보아야하고,

자주 글로 정리하는 습관을 들이자

 

프로젝트 통제

자잘한 변경사항은 역시 PM이 중간에서 관리해주어야 팀원들이 편하다.

그리고 일정 진행도 원활하겠지

 

보통,,보고 날짜는 고객사 일정에 맞추어 진행한다.

고객사와 함께하는 희의 내용은 녹음하는 것이 좋다.

회의록은 정리하여 고객사측 서명도 받는다.

그래야 뒤탈 없이 프로젝트 마무리 할 수 있다.

 

프로젝트 관리 KSF (?!)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위험 - 리스크(추측/미래)

문제 - 현실화된 위험

일정 계획 수립 - 다수 경험 보유자가 책정해야 한다.

일정 관련 리스트 사례가 많다.

 

최소한 일정 진행 중, 내 능력이 부족한 사례는 남기지 말자

 

리스크 대응 방안(ACME)

Avoid(회피) - 이러다가는 망한다

Contain(수용) - 가능한 일정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처리

Mitigate(완화) - 수용과 동일

Evade(모면) -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경우

 

리스트관리(QCDS ??????)

Cost(자원/코스트)

Time(시간)

Quality(품질)

Scope(범위)

 

앞으로 보게될, 작성하게될 문서들에 대해서 공부할 시간이 꼭 필요하다.

반응형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3월 11일 금요일 관심있는 자료들  (0) 2022.03.11
CSS 복습 중 몇가지  (0) 2022.03.10
MariaDB 설치  (0) 2022.03.10
MySQL ? MariaDB ?  (0) 2022.03.08
Microsoft Azure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0) 2022.03.04
반응형

1. MariaDB 다운로드 사이트 접속

https://mariadb.com/ko/downloads/

 

MariaDB Products & Tools Downloads | MariaDB

Find MariaDB downloads, connectors, and tools including Community Server, Enterprise Server, ColumnStore, MaxScale and Xpand.

mariadb.com

또는

https://downloads.mariadb.org/

 

Download MariaDB Server - MariaDB.org

REST API Release Schedule Reporting Bugs … Continue reading "Download MariaDB Server"

mariadb.org

 

2. MariaDB Community 버전 및 OS 선택 후 다운로드

 - 본 글에서 다운로드한 버전 : 10.6.7

 - OS: MS Windows (64-bit)

 

 

** 설치 중 특이사항

버전에 따라 일부 설치 과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일부 프로그램을 종료해야 설치 진행 가능하다는 화면이 나올 수 있으며,

사용자 정보를 제조사로 전송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화면이 나올 수도 있다.

 

3. 설치 화면

 - 첫 화면에는 별다른 설정 없으므로 Next 선택

MariaDB Setup

 

4. End-User License Agreement

 - I accept the terms in the License Agreement (라이센스 동의) 체크

 - Next 선택

 

5. Custom Setup

 - 모든 항목 선택 되어 있음

 - 설치 경로 확인 후, 변경 필요한 경우 Brorwse 선택하여 설치 경로 변경

 - Next 선택

 

6. Default instance properties (1/2)

 - Modify password for database user 'root'

  root 유저 비밀번호 변경을 위해서 체크 후 비밀번호 입력

 - Enable access from remote machines for 'root' user

  외부 접속 필요시 체크

 - Use UTF8 as default server's character set

  데이터베이스 기본 캐릭터셋의 UTF8 설정을 위해서 체크

 - Data directory

  데이터 디렉토리 경로 확인 후, 변경이 필요하다면 Browse 선택하여 결로 변경

 - Next 선택

 

7. Default instace properties (2/2)

 - Install as service

  윈도우즈에 등록될 서비스명 변경 필요 시 재입력 (디폴트: MariaDB)

 - Enable networking

  3306 포트 사용중이라면 변경 필요함

 - Innodb engine settings

  기본 세팅된 값으로 유지, 변경 필요시 재량껏...

 

8. Ready to install MariaDB

 - 모든 설치 준비가 완료된 상태로, Install 선택

 

9. Installing MariaDB

 - 설치 진행 중

 

10. Completed the MariaDB Setup Wizard

 - 설치 완료, Finish 선택

 

11. 설치 확인

 - 최근 설치된 앱에서 MySQL Client 실행

 - 설정한 root 유저 비밀번호로 정상 접속 여부 확인

 

이것으로 MariaDB 사용을 위한 설치는 완료되었다.

사용 시 MySQL과 어떤 차이점이 있을지 아직 잘 모르지만,

특이점이 있을때 기록 해야겠다.

반응형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복습 중 몇가지  (0) 2022.03.10
프로젝트관리 키워드 등등  (0) 2022.03.10
MySQL ? MariaDB ?  (0) 2022.03.08
Microsoft Azure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0) 2022.03.04
넥사크로 퀵코드-Nexacro QuickCode  (0) 2022.03.02
반응형

실전 투입 전 감 살릴겸 공부를 위해서

MySQL 커뮤니티 버전을 설치하려던 와중에

MariaDB가 생각나서 적어본다.

 

* 참고 :

https://sabarada.tistory.com/164

 

[database] mysql과 mariaDB 중 어떤 DB가 나에게 맞을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mysql과 mariaDB에 대한 차이점을 알아보고 어떤것을 사용하면 개인에게 그리고 팀에게 적합할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히스토리 mariaDB는 mysql의 개발자가

sabarada.tistory.com

 

MariaDB는 MySQL 개발자가 나와서 개발했다고 한다.

MontyProgram AB라는 회사를 차리면서 MariaDB를 만들게 되었다.

자체적으로 서비스로 MariaDB 뿐만아니라 PerconaServer도 있다고 한다.

 

MariaDB와 PerconaServer는 MySQL을 기반으로 fork하여 개발되었고,

MariaDB는 MySQL의 엔진에 PerconaServer의 엔진을 함께 사용하고 있다.

 

그렇기에 MariaDB는 MySQL과 공통적인 부분이 많으며

MySQL을 다룰줄 안다면 MariaDB를 사용하는 것은 금방 익힐 수 있다.

 

* MySQL

- 널리 사용되는 오픈소스 RDBMS

- 1994년 개발

- 2008년, 썬마이크로시스템즈에 인수됨

- 2010년, 오라클에 인수됨

 

* MariaDB

- MySQL의 브랜치

- 오픈소스 RDBMS

- 라이선스 : GPLv2

 

* 공통점

- MariaDB의 실행 프로그램과 유틸리티는 모두 MySQL과 이름이 동일하며 호환된다.

- MySQL 5.x 데이터 파일과 데이터 정의 파일 *.FRM은 MariaDB 5.x와 호환된다.

- 모든 클라이언트 API와 통신 프로토콜은 서로 호환된다.

- MySQL Connector는 모두 MariaDB에서 변경업싱 사용 가능하다.

- MySQL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MariaDB 서버의 연결에 사용할 수 있다.

 

* 차이점

- 서로 기능이나 성능에 큰 차이점을 모빙지 않지만, 이끄는 회사가 다르므로 지켜보아야 한다.

- 아래 내용은 상단에 기재한 블로그에서 참고하여 Real MariaDB 서적에서 발췌한 내용의 일부라고 한다.

- 스토리지 엔진 비교

용도 MariaDB MySQL
메모리 스토리지 엔진 MySQL 코드 베이스에 포함된 메모리 스토리지 엔진을 기본으로 사용한다. MariaDB의 메모리 스토리지 엔진과 거의 동일하다
디스크 기반 내 비임시 테이블 스토리지 엔진 기본적으로 Aria 스토리지 엔진을 사용한다. 이것은 InnoDB와 비슷하게 인덱스하며 레코드 데이터까지 모두 메모리 캐시를 이요할 수 있기 때문에 MySAM에 비해서는 빠른 처리를 보장한다. MySAM 스토리지 엔진을 사용하는 테이블을 생성하여 작업을 처리한다.
트랜잭션 지원 스토리지 엔진 PerconaServer에서 나온 XtraDB가 사용되었으며, 10.0.7 버전부터는 InnoDB가 기본이 되었다고 한다. InnoDB 스토리지 엔진을 사용한다.
NoSQL 지원 엔진 Cassandra의 데이터를 MariaDB 서버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Memcached 플러그인을 제공한다.

- 기능 비교

용도 MariaDB MySQL
스레드 풀 MariaDB 5.1 버전부터 지원한다. 엔터프라이즈 버전에서만 지원한다.
버퍼풀 프리로드 XtraDB에서 버퍼 풀의 내용을 덤프하고, 덤프된 버퍼 풀 정보를 MariaDB 재시작 후 다시 버퍼 풀로 로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MySQL 5.6 버전에서부터 InnoDB 버퍼풀의 덤프와 로딩 기능을 지원한다.
SSD 지원 XtraDB에서는 SSD 기반의 디스크 IO를 위한 블록 플러시 알고리즘을 지원한다. -
롤 기반의 권한 관리 오라클과 같이 특정 유저 그룹을 위한 롤 생성 가능하다. -
반 동기화 레플리케이션 - 플러그인 형태로 제공한다.
가상 컬럼 1개 이상의 컬럼 값을 미리 별도의 컬럼에 저장하거나 쿼리 처리 시점에 가공하여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
동적 컬럼 NoSQL 처럼 사용 할 수 있는 동적 컬럼 지원 기능을 제공한다. -

 

* 라이센스

- MySQL

 커뮤니티 버전, 상용 버전으로 나뉘어 진다.

 커뮤니티 버전은 서버/클라이언트/라이브러리 모두 GTL 라이센스로 배포된다.

 오픈소서로써 사용 가능하지만 상용 버전 라이센스 사용을 위해서는 지용을 지불해야 한다.

- MariaDB

 MySQL 커뮤니티 버전을 fork하여 사용하고 있다.

 서버는 GPL 라이센스로 배포되며, 클라이언트와 라이브러리는 LGPL 라이센스를 따른다.

 GNU GPLv2 라이센스로만 배포되며 상용버전은 별도로 없으며 MySQL을 fork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상용버전을 출시할 수 없다.

 

 

**

MySQL을 사용한 경험이 있고 다양한 RDBMS를 경험해 보고 싶다면

MariaDB도 설치해서 사용해보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도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상용 버전이 없는 오픈소스 제품으로서

MariaDB는 충분히 매력적이라고 생각된다.

기업 측면에서 확실한 지원을 받기를 원한다면,

비용을 지불하며 MySQL 상용 버전을 사용하는 것도 좋겠다.

반응형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젝트관리 키워드 등등  (0) 2022.03.10
MariaDB 설치  (0) 2022.03.10
Microsoft Azure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0) 2022.03.04
넥사크로 퀵코드-Nexacro QuickCode  (0) 2022.03.02
var, let 성능?  (0) 2022.03.02
반응형

* 위키 글 참고

https://ko.wikipedia.org/wiki/%EB%A7%88%EC%9D%B4%ED%81%AC%EB%A1%9C%EC%86%8C%ED%94%84%ED%8A%B8_%EC%95%A0%EC%A0%80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https://en.wikipedia.org/wiki/Microsoft_Azure

 

Microsoft Azure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 Jump to search Cloud computing service created by Microsoft Microsoft Azure, often referred to as Azure ( AZH-ər, AY-zhər, AZ-ure, AY-zure),[2][3][4] is a cloud computing service operated by Micros

en.wikipedia.org

 

 

Microsoft Azure (마이크로소프트 애저)는 2010년 시작된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이다.

2011년 PaaS에 이어 2013년 IaaS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아마존 웹 서비스 등과 경쟁하고 있다.

 

비즈니스, 게임 등 여러 분야에서 클라우드 플랫폼이 유행처럼 퍼지고 있다.

 

public, private, hybrid 클라우드로 세가지로 구분하여 정리할 수 있다.

클라우드의 이점은 아래와 같다.

 -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 내결함성(Fault folerance)
 - 확장성(Scalability)
 - 탄력성(Elasticity)
 - 글로벌 지원(Golobal reach)
 - 응답 속도(Customer latency)
 - 민첩성(Agility)
 - 예측가능 비용(Predictive cost)

 

또한 여러 종류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존재한다.

 -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PaaS(Platform as a Service)
 - SaaS(Software as a Service)
 - 사용 사례를 기준으로 서비스 유형 파악
 - 공동 책임 모델
 - 서버리스 컴퓨팅

 

아마존 AWS와 함께 마이크로소프트 Azure도 꾸준히 알아가고

사용해보는 경험이 필요하다.

반응형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riaDB 설치  (0) 2022.03.10
MySQL ? MariaDB ?  (0) 2022.03.08
넥사크로 퀵코드-Nexacro QuickCode  (0) 2022.03.02
var, let 성능?  (0) 2022.03.02
기계식 키보드? 살까?  (0) 2022.03.02
반응형

QuickCode 란

-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코드를 직접 작성하는 것이 아닌,

코드 블럭화를 통해 개발 기간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고,

쉽고 빠른 어플리케이션 구축할 수 있다.

 

  로우코드/노코드 필요한 이유?
  (나중에 찾아보자)

 

- 개발 구성 요소 : Model(Data), View, Controller(Trigger+Action)

  >> 코드 - 블럭화

  >> 높은 개발 생산성 : 코드 개발 단축, 쉬운 활용성, 코드 재가공

 

 

QuickCode 구성요소

- Model : 화면 정보를 데이터로 관리, 화면에 표현 할 정보를 관리하는 모듈

- View : 모델 기반으로 화면 표시, 모델의 정보를 바탕으로 화면을 표현하는 모듈

- Trigger : 사용자의 동작을 정의, 사용자 동작을 확인하여 액션을 실행시켜주는 모듈

  (ex. 검색화면에서 '조회/검색' 버튼을 클릭하는 동작)

+ Action : 동작 맞춰 기능 실행, 사용자의 동작에 맞춰 처리할 기능을 정의하는 모듈

  (ex. Trigger에 의해 실행되는 기능 실행)

모듈은 직접 제작 및 편집할 수 있어서
개발에 필요한 모듈을 손쉽게 추가 할 수 있다.

 

 

QuickCode 에셋

초급 수준의 개발자도 프로젝트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로우코드 기반의 뷰와 컨트롤러 에셋을 제공한다

 

- View Tenokate Assets

 Button, Search, FreeForm, Grid

 

- Controller Assets

 Transaction, Pop-Up, Message

 

 

반응형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 MariaDB ?  (0) 2022.03.08
Microsoft Azure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0) 2022.03.04
var, let 성능?  (0) 2022.03.02
기계식 키보드? 살까?  (0) 2022.03.02
NexacroN-2-간단한프로젝트생성해보기  (0) 2022.02.28
반응형

* 참고글

https://roy-jung.github.io/170110_let-vs-var-performance-compare/

 

let과 var의 성능 비교

if, for 등의 block statement 외부에서 let으로 선언한 변수를 statement 내부에서 호출할 때에는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블록스코프의 영향을 받지 않는 var로 선언한 변수를 호출할 때보다 느리므로,

roy-jung.github.io

 

공부하며 이글 저글 찾아보다가

최근 작성된 글에서도 대부분 var 를 사용하기에

let 과의 성능차이가 어느정도 되는지

또 찾아보게 되었다.

 

그리고 replit에서 간단하게 테스트를 해보았는데,

replit에서는 성능 차이가 적어 보였다.

(아래 결과 참고)

최근에는 여러 브라우저들에서 크게 성능차이가 없다고 한다.

 

시간이 더 지나서 여러 기관들에서

향상된 성능/버전의 환경과 브라우저를 사용하게 된다면

var 보다 let 를 사용하게 되지 않을까...

 

* JS

const timeCheck = (times, test) => {
  var res = 0,
    t1,
    t2
  while (times-- > 0) {
    t1 = window.performance.now()
    test()
    t2 = window.performance.now()
    res += t1 - t2
  }
  console.log(test.name, res/times)
}

const compare = (times, ...tests) => {
  tests.forEach(test => timeCheck(times, test))
}

console.log("-----inner-----")
testVar = function() {
  // for (var i = 0; i <= 10000; i++) { i * 10 }
  var i = 0;
  for (; i <= 10000; i++) { i * 10 }
}
testLet = () => {
  // for (let i = 0; i <= 10000; i++) { i * 10 }
  let i = 0;
  for (; i <= 10000; i++) { i * 10 }
}
compare(100000, testVar, testLet);
compare(100000, testVar, testLet);

console.log("-----outter-----")
testVar = function() {
  for (var i = 0; i <= 10000; i++) { i * 10 }
}
testLet = () => {
  for (let i = 0; i <= 10000; i++) { i * 10 }
}
compare(100000, testVar, testLet);
compare(100000, testVar, testLet);

 

* result

-----inner-----
testVar 248.09999990463257
testLet 246.400000333786
testVar 233.99999952316284
testLet 232.5999995470047
-----outter-----
testVar 233.0999995470047
testLet 233.9000005722046
testVar 240.10000002384186
testLet 235.30000066757202

 

반응형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crosoft Azure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0) 2022.03.04
넥사크로 퀵코드-Nexacro QuickCode  (0) 2022.03.02
기계식 키보드? 살까?  (0) 2022.03.02
NexacroN-2-간단한프로젝트생성해보기  (0) 2022.02.28
NexacroN-1-설치  (0) 2022.02.28
반응형

이전에는 주업무가 개발이 아니다보니 키보드를 크게 신경쓰지 않았고

회사에서 지급해준 일반적인 멤브레인 키보드나 노트북 자체 키보드를 사용하였다.

 

노트북 자체 키보드를 이용함에 있어서

페이지업다운이나 홈/엔드 기능 사용이 펑션을 조합하는 키보드는

최근 들어서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앞으로 계속 어디에서 일을 하든 키보드를 장시간 두드릴 것이기 때문에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손목과 손에 피로감을 줄여주면서

개인적인 만족감도 채워줄 키보드를 찾아보게 되었다.

 

일단 타건감이 남다르다.

키캡과 연결되는 플라스틱 구조물(스템 또는 슬라이더),

 금속 접점과 반발력을 줄 수 있는 부품,

 내부를 보호해줄 플라스틱 덮개(하우징)로 구성됨.

해당 부품들을 커스터마이징 가능하다.

 

체리사에서 키압별로 적색/청색/갈색 등으로 분류하여 판매 한것이 대중화 되어

적축/청축/갈축 등으로 사람들이 부르기 시작한것 같다.

 

색상별로 키압이 다르기 때문에 소음이나 누르는 느낌이 다르다.

키압에 따라 세가지로 분류된다고 한다.

클릭 : 키가 입력되었을 때 소리가 나며 키 누를 때 어느 정도 눌리는 느낌이 있다.

넌클릭 : 키가 입력되었을 때 소리가 나지 않으며 키 누를 때 어느 정도 눌리는 느낌이 있다.

리니어 : 키가 입력되었을 때 소리가 나지 않으며 키 누를 때 어느 정도 눌리는 느낌이 없다.

 

4가지 축에 대한 간단한 정리

- 청축 : 클릭 방식. 딸깍 거리는 소리. 시원한 타건감, 경쾌한 소리. 조용한 공간에서는 민폐.

- 갈축 : 넌클릭 방식. 입력 시 서걱서걱 조용한 소리. 적축과 청축의 중간 같은 느낌.

- 적축 : 리니어 방식. 키 누를 때 느낌이 거의 없다. 소음이 적음. 타건감이 아쉬움.

- 흑축 : 리니어 방식. 키압이 강함. 묵직함. 소리는 적축과 비슷함. 장시간 타건에 피로감 높음.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는 정보로는 어떤 키보드를 사야할지 확정할 수 없다.

직접 용산이든 어디든 방문해서 키보드를 눌러보아야

어떤 축, 어떤 제품을 고를지 정할 수 있을 것 같다.

반응형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넥사크로 퀵코드-Nexacro QuickCode  (0) 2022.03.02
var, let 성능?  (0) 2022.03.02
NexacroN-2-간단한프로젝트생성해보기  (0) 2022.02.28
NexacroN-1-설치  (0) 2022.02.28
넥사크로 - Form  (0) 2022.02.28
반응형

http://docs.tobesoft.com/getting_started_nexacro_n_ko#f80e3f552e01dea2

 

넥사크로 N 초보자를 위한 자습서 21.0.0.100

이 내용이 얼마나 도움이 되셨나요? 피드백이 기록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음도움이 되지 않음조금 도움이 됨도움이 됨매우 도움이 됨

docs.tobesoft.com

투비소프트 넥사크로N 초보자 자습서를 참고한다.

 

1. 신규 프로젝트 팝업을 연다. (메뉴에서 선택 또는 Ctrl+Shift+N)

 - 프로젝트 <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

 - 프로젝트 파일을 저장할 폴더(디렉토리) 경로를 선택한다.

 - 프로젝트명 입력 후 다음으로 이동한다. (Next 클릭)

 

2. 데스크탑 선택 후 다음으로 이동한다. (Next 클릭)

 

3. Full 선택 후 완료한다. (Finish 클릭)

 - Screen, Frame 관련 설정은 프로젝트 생성 후에도 수정할 수 있다.

 - Next 클릭하여 다음 설정으로 이동 시 Quick Code 사용 할지에 대한 설정이 가능하나,

   해당 기능은 추후에 다루도록 한다.

 

4. Project Explorer > FrameBase > Form_Work 더블클릭하여 디자인 창이 열린다.

 

5. 컴포넌트를 배치한다.

 - 글자를 표기할 때는 Static 컴포넌트를 사용한다. 원하는 위치에 드래그앤드랍으로 영역을 설정하여 생성할 수 있고, 좌클릭 한번으로 기본 생성 가능하다.

 - 마우스 좌클릭을 천천히 두번 하거나 F2를 클릭하여 텍스트를 수정할 수 있다.

 - 또한 화면 우측의 Properties 창에서도 text 수정 가능하다.

 

6. 앱을 실행해본다.

 - NRE(Nexacro Runtime Environment) 또는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실행 가능하다.

 

7. 이벤트 추가해본다.

 - Static 컴포넌트를 더블 클릭했을 때 alert 창을 출력한다.

 - Static 컴포넌트 선택 후 우측 Properties 창에서 Event > onclick 항목 입력칸을 더블클릭한다.

 - 스크립트 탭으로 이동된 후, 아래와 같이 함수 내 스크립트를 작성한다.

this.Static00_onclick = function(obj:nexacro.Static,e:nexacro.ClickEventInfo) {
    this.alert("Nexacro N Test");
};

 

7. 저장 후 '6번' 참고하여 앱 실행하여 테스트해본다.

 - NRE가 아닌 웹브라우저에서도 테스트해본다.

반응형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var, let 성능?  (0) 2022.03.02
기계식 키보드? 살까?  (0) 2022.03.02
NexacroN-1-설치  (0) 2022.02.28
넥사크로 - Form  (0) 2022.02.28
넥사크로 - Grid  (0) 2022.02.25
반응형

넥사크로 설치부터 익힌 내용들을 간단히 적어볼까 한다.

 

http://docs.tobesoft.com/getting_started_nexacro_n_ko

 

넥사크로 N 초보자를 위한 자습서 21.0.0.100

이 내용이 얼마나 도움이 되셨나요? 피드백이 기록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음도움이 되지 않음조금 도움이 됨도움이 됨매우 도움이 됨

docs.tobesoft.com

0. 처음 사용한다면 투비소프트 매뉴얼 사이트를 참고하여 학습하길 바란다.

 

 

https://www.tobesoft.com/product/Nexacro.do

 

Nexacro < 제품 < TOBESOFT

 

www.tobesoft.com

1. 위 사이트에 접속해서 체험판을 다운받는다. (투비소프트 공식 사이트)

 

2. 설치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 완료한다.

3. 실행하여 사용 가능한 기간이 60일인지 확인한다.

반응형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식 키보드? 살까?  (0) 2022.03.02
NexacroN-2-간단한프로젝트생성해보기  (0) 2022.02.28
넥사크로 - Form  (0) 2022.02.28
넥사크로 - Grid  (0) 2022.02.25
플레이넥사크로 사이트  (0) 2022.02.22
반응형

Form

 - 화면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

 - 여러 컴포넌트를 배치하여 화면을 구서하고 스크립트가 실행 될 수 있는 환경

 

Property

 - all, components, objects ...

 

Method

 - addChild : form 에 지정한 오브젝트 추가

 - alert : 메시지 출력

 - getFocus : 포커싱

 - isValidObject : 현재 form에 컴포넌트가 있는지 체크

 - setTimer : 일정한 시간에 한번씩 이벤트 발생

 - killTimer : 타이머 종료

 - transaction : 데이터 전송

 

Event

 - onactivate : 어플리케이션 비활성->활성화 시 동작

 - onbeforeclose : X 버튼 눌러서 종료 시 동작

 - oninit : 초기화 시 동작

 - onload : 모든 컴포넌트 로딩 완료 후 동작

 - ontimer : 타이머 동작 스크립트

 

반응형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xacroN-2-간단한프로젝트생성해보기  (0) 2022.02.28
NexacroN-1-설치  (0) 2022.02.28
넥사크로 - Grid  (0) 2022.02.25
플레이넥사크로 사이트  (0) 2022.02.22
서울시 뉴스 일부 저장용 2022.02.22  (0) 2022.02.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