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시작부터 끝까지 완전히 한 사이클을 한 기업에서 경험해본 경험은 없다.
하지만 각 단계별로 경험해본 생각과 교육 받을때 메모해둔 키워드들을 적어본다.
중복되는 키워드들은 천천히 정리 해보겠다.
사업제안요청서(RFP) > 제안서 > 사업수행계획서
개발 실력은 기본적으로 중요하지만 문서를 보는 법도 중요하다.
프로젝트 전체적으로 이해 해야 커뮤니케이션도 가능/원활하고 더 성장할 수 있다.
프로젝트 관리(Project Management)
계획(planning)
조직(organizing)
인사(staffing)
방향(directing)
통제(controlling)
이해관계
팀장 고객 컨서런트
경영진 PM 스태프개발자
협조기관 타업체 협력업체
PM
plan, organ, conn, counsel, monitor, direct, train, motivate, delegate, coordinate
WBS(Work Breakdown Structure) - 일정계획표
Project Phase(=stage)
OBS(Organizational Breakdown Structure)
RAM(Responsibility assignment matrix)
방법론?! 폭포수, 애자일, CBD(Component Based Development), etc...
계획 > 진행 > 검토
프로젝트 개요
실행 계획
관리 계획
목표 범위 정의 - 성과 측정 기준 선정 - 일정 계획 수립 / 예산 및 자원 계획 수립 / 수행 절차 정리 - 통합 및 위험 관리 방안 - 실행 계획 작성
=> 사업 수행 계획서
프로젝트 진행 보고 중요하다
특이사항 있는 경우 바로 피드백하여 추후 더 큰 손해를 방지하자
1차(SI) -> 2차(고도화) -> 차세대
초기 -> 1년후 -> 3~5년후
PMO - 정말 큰 프로젝트(50~100억대 이상)에서 보통은 고객사가 만드는 조직이라 보면됨
사람들과 친해져라
프로젝트 나가서 어색하지 않게,,
당연히 서로 사이좋게 지내고 미리 좀 실력도 알아둘 수 있게,,
프로젝트 내 구성원들과 동화되어서 잘 지내자.
너무 나한테 꽂히는 말이다.
독고다이로 생활하는건 어릴때나 가능했지,,
이제는 사람들과 잘 어울리는 법을 연습하자.
프로젝트 시작 시 fm대로 미리 폴더를 생성한다.
중간에 투입 시 이미 데이터들(폴더들)이 있을것이다.
나라장터, 조달청,,구매입찰
제안서
발표입찰(총괄PM)
사업제안요청서
제안서를 어떻게 작성해서 배포해야하는지 안내되어 있다.
상품 설명부터 경쟁력, 입찰관련 등 안내사항 모두 기재.
요구사항 - 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 배포
수주 했을 시 사업수행계획서 제출, 발표.
BMT는 어떻게 측정하는가..?!
사업장에서 모든 문서 확인 가능할것이다.
계약관리, 프로젝트표준, 범위관리, 일정관리, 인력관리, 의사소통관리, 변경관리, 보안관리, 인프라도입, 교육관리, 검수 등등
주간보고, 월간보고 중요하다
회의록 - 리스트 방지, 책임소재 만들지 않고 서로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서명도 받는다
보통 문서 템플릿은 사업관리 쪽에서 보내준다
나중에 최종산출물 취합
하지만 대부분 개발에 바빠서 문서 작업을 나중에 몰아서 하게 되는 곳이 많은듯하다
주간업무보고
진척률, 이슈/리스크 관리, 요청사항, 인력관리(인력투입현황)
월간업무보고
진척률, 이슈/리스크 관리, 요청사항, 인력관리(인력투입현황)
프로젝트 초기 3개월 중 스토리보드/화면설계서 작성
유스케이스 명세서,,
문서 잘 만든다 => 보통 코딩도 잘한다
문서 작성 잘하는 것도 능력이고 중요하다
Project Management Office - PMO framework
리스트 관리 시, 리스트관리대장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이슈 관리 시, 이슈관리대장을 작성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고객사 - 수행사간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범위정의에 주의해야한다.
의사소통관리 - PMS 쓰면 좋다
인력관리가 제일 리스크 크고 어렵다
범위이슈도 정말 크다
품질관리
일정관리 - 진도측정, WBS
리스트관리
이슈관리
범위관리(범위변경관리)
의사소통관리
벤더관리 (거의 PM이 신경씀)
자원관리 - 리소스 (대부분은 인력)
자기내재화 중요하다
내가 직접 문서 작성을 많이 해보아야하고,
자주 글로 정리하는 습관을 들이자
프로젝트 통제
자잘한 변경사항은 역시 PM이 중간에서 관리해주어야 팀원들이 편하다.
그리고 일정 진행도 원활하겠지
보통,,보고 날짜는 고객사 일정에 맞추어 진행한다.
고객사와 함께하는 희의 내용은 녹음하는 것이 좋다.
회의록은 정리하여 고객사측 서명도 받는다.
그래야 뒤탈 없이 프로젝트 마무리 할 수 있다.
프로젝트 관리 KSF (?!)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위험 - 리스크(추측/미래)
문제 - 현실화된 위험
일정 계획 수립 - 다수 경험 보유자가 책정해야 한다.
일정 관련 리스트 사례가 많다.
최소한 일정 진행 중, 내 능력이 부족한 사례는 남기지 말자
리스크 대응 방안(ACME)
Avoid(회피) - 이러다가는 망한다
Contain(수용) - 가능한 일정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처리
Mitigate(완화) - 수용과 동일
Evade(모면) - 거의 존재하지 않는 경우
리스트관리(QCDS ??????)
Cost(자원/코스트)
Time(시간)
Quality(품질)
Scope(범위)
앞으로 보게될, 작성하게될 문서들에 대해서 공부할 시간이 꼭 필요하다.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3월 11일 금요일 관심있는 자료들 (0) | 2022.03.11 |
---|---|
CSS 복습 중 몇가지 (0) | 2022.03.10 |
MariaDB 설치 (0) | 2022.03.10 |
MySQL ? MariaDB ? (0) | 2022.03.08 |
Microsoft Azure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0) | 2022.03.04 |